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글

코로나19 수기명부에 개인번호 대신 안심번호

  • 네이버 · 카카오 · 패스 QR체크인 화면에서 확인 가능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수기 출입명부에 그간 휴대전화번호를 작성했었지만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우려와 실제 피해사례가 발생하기도 하여 대책이 요구됐었습니다.

QR코드를 이용하여 체크인 하는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이를 활용하지 않는

음식점 등에서는 별도의 수기명부를 작성해야만 했습니다.

 

이에 따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국민들이 식당 · 카페 등의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할 때 안심하고 수기명부를 작성할 수 있도록 개인안심번호를

시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네이버와 카카오톡, 패스 앱을 통해 사용할 수 있으며 '12가34나' 처럼 간단한 숫자와

문자 조합을 통해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개인번호가 아닌 안심번호를 적게되면 무작위로 연락하여 발생할 수 있는

스팸과 피싱을 예방할 수 있게됩니다.

개인안심번호는 전화나 문자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확진자 발생시 방역당국만 안심번호를 휴대전화번호로 변환해 역학조사를 하게 됩니다.

 

기존 QR코드의 경우 임시발급 형태였지만 안심번호의 경우 계속 사용할 수 있으며

발급 기관이 달라져도 개인안심번호는 동일하고 코로나19 종식때 까지 사용 가능합니다.